물새 발자국 따라 바다를 품은 책 `자산어보`
물새 발자국 따라 바다를 품은 책 `자산어보`
  • 북데일리
  • 승인 2006.04.11 09: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래밭 위에 무수한 화살표들,/앞으로 걸어간 것 같은데/끝없이 뒤쪽을 향하여 있다//저물어가는 해와 함께 앞으로/앞으로 드센 바람 속을/뒷걸음질치며 나아가는 힘, 저 힘으로//새들은 날개를 펴는가/제 몸의 시윗줄을 끌어당겨/가뜬히 지상으로 떠오르는가//따라가던 물새 발자국/끊어진 곳쯤에서 우둑하니 파도에 잠긴다”(손택수 ‘물새 발자국 따라가다’)

삼년 전 눈과 함께 왔다가 사람들 가슴 속에 <호랑이 발자국>(창비)을 남기고 홀연히 사라졌던 손택수 시인이 다시 돌아왔다. 사라진 시인을 두고 깊은 산속으로 들어갔네, 어디로 갔네, 말들이 많았지만 결국 발자국을 남긴 것이 화근이었다.

호랑이 발자국은 쌓이는 눈으로 지울 수 있었으나, 물새 발자국은 화살촉 모양의 화석으로 남아 많은 사람들의 가슴에 꽂혀 있었던 것이다. 그새 시인은 200년을 뛰어 넘어 정약전과 정약용 형제가 이별하는 나주의 어느 주막집에 가 있었다.

“초가 주막 새벽 등불 푸르스름 꺼지려는데/일어나 샛별 보니 이별할 일 참담해라./두 눈 만 말똥말똥 둘이 다 할 말 잃어/애써 목청 다듬으나 오열이 터지네.(‘밤남정 이별 栗亭別’)

(茅店曉燈靑欲滅 起視明星慘將別 脈脈嘿嘿兩無言 强欲轉嗅成嗚咽.)

1801년 음력 11월 21일 정약용과 그의 형 정약전은 생전의 마지막이 되어버린 밤을 밤남정에서 보내며 애끓는 심사를 노래한다. 이튿날 두 형제가 헤어진 지 16년 만에 정약전이 흑산도에서 병사하게 되고, 이년 후 밤남정을 지나던 다산은 목을 놓아 울었다고 전해진다.

손택수 시인이 쓴 <바다를 품은 책 자산어보>(아이세움. 2006)는 정약전이 흑산도 유배지에서 기록한 한국 최초의 어류학서를 아름다운 시와 함께 풀어 쓴 책이다.

다양한 바다생물을 세밀화로 그려 넣은 책은 바다이야기와 편지와 산문이 시인의 세심한 설명 속에 바닷물처럼 잘 스며들어 있다. 물새 발자국 끊어진 곳에서 훨훨 날아 흑산도로 간 이유에 대해 시인은 “한 시절을 바다에서 보낸 빚을 갚고 싶어서였다”고 말한다.

시인을 따라 흑산도 바닷가를 걸으면 소라가 잉잉거리고 게가 딱딱거리는 소리가 들려온다. 200년 전 바닷가를 수놓았던 무수한 생물들이 살아 숨 쉬며 우리 바다생물 연구에 큰 발자국을 남겨놓았다.

시인의 다음 발자국이 또 궁금해진다.

[북데일리 김연하 기자] fargo3@naver.com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