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페이퍼=박세리 기자] 대한민국의 불치병으로 대표되는 ‘지역갈등’, 특히 영호남 갈등은 정말 망국적 고질병일까. 혹자는 붕당정치가 창궐했던 고릿적 시대부터 유전자에 깊이 새겨졌다고도 한다.
정치에 호기심이 들게 하는 <내가? 정치를? 왜?>(한빛비즈.2017)에 따르면 오해다. 지역주의 역사는 채 30년이 되지 않았다. SBS 데이터 저널리즘 팀이 관련 주장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달랐다.
역대 총선을 7개 권역으로 나눠 당선된 의원 수를 바탕으로 정당 지지율을 구해 1~19대 총선별 지지 정당을 살펴본 결과 1대부터 12대 총선까지는 집권당에 대한 지지가 고르게 나타났다. 지역주의에 따라 몰표가 쏟아진 경우도 없었다. 오히려 지역주의 선거가 나타나기 시작한 때는 1987년 민주화 이후 13대 총선 이후부터다.
1987년 12월 대선에서 김영삼과 김대중이 후보 단일화에 실패하면서 노태우가 정권을 잡게 됐다. 당시 민주화 세력은 크게 세 축으로 나뉘어 총선이 치러졌다. YS(김영삼)의 통일민주당, DJ(김대중)의 평화민주당, 노태우의 민주정의당이다.
선거 결과 민주정의당은 대구-경북지역에서 86%, 통일민주당은 부산-경남지역에서 62%, 평화민주당은 호남에서 97%의 의석을 차지했다. 평화민주당은 대구-경북, 부산-경남지역에서 한 표도 얻지 못하며 지역주의 정치가 처음을 선거 결과로 나타났다. 이후 19대까지 지역별 지지율 현상이 지역주의로 유지된 것.
책은 13대 선거를 기점으로 지역주의 선거가 나타났으며 한국 정치가 지역 정당 체제로 움직이기 시작한 기간도 고작 30년도 안 지난 이야기라 강조한다. 이어 지역주의 정치는 끊을 수 없는 악습이 아니며 이는 자신만의 차별된 공약을 대중에게 어필하지 못하는 정치인의 한계가 지역감정을 부추기고 있는 셈이라 진단한다.
또한 지역주의가 망국의 고질병 차원으로 주목받은 시기가 1987년 6월 항쟁이었다는 점도 전했다. 제도적 민주화 달성 후 기득권 상실 위기에 처한 세력이 민주화 세력인 ‘3김 세력’을 견제할 담론으로 만든 프레임인 셈이다.
이 밖에 투표가 어떻게 삶의 질을 바뀌게 하는지, 행정부의 수장이자 국민의 수장 대통령과 주변인이 어떤 일을 하는지, 21세기 민주주의의 시민의 현주소는 어떤지 등. 정치 상식을 이해하기 쉽게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