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 결과 발표

[화이트페이퍼=정현수 기자] 올해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 결과 농협은행·미래에셋증권·우리카드·DB손해보험 등 4곳만이 '양호' 등급을 받았다. 금융소비자보호법 안착 등으로 '양호' 등급을 받은 금융사는 전년 대비 늘었으며 '미흡' 등급을 받은 금융사는 없다.
금융감독원은 2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도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는 금소법에 따라 평가대상 회사를 총 3개 그룹으로 나눠 매년 1개 그룹을 평가하는 것으로, 올해는 6개 업권 22개사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올해 실태평가 결과 22개사의 종합등급은 '양호' 4개사, '보통' 18개사였고 '미흡' 이하 등급은 없었다.
종합등급 '양호' 4개사는 농협은행, 우리카드, DB손해보험, 미래에셋증권이었고 전북은행·기업은행·SC제일은행·교보생명·미래에셋생명·신한라이프·KB라이프·푸본현대생명·롯데손보·메리츠화재·악사손보·삼성카드·하나캐피탈·KB증권·하나증권·애큐온저축은행·웰컴저축은행·KB저축은행 등 18개사는 '보통'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 평가와 비교하면 '양호' 등급인 회사는 3개사에서 4개사로 증가하고 '미흡' 등급 회사 수는 1개사에서 0개사로 줄었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업권은 대부분 항목에서 다른 업권에 비해 양호한 평가를 받았으며 보험은 생보업권이 민원건수가 2년 연속 감소했지만 손보업권은 실손보험금 관련 민원이 증가해 계량평가에서 전체 업권 중 평가가 가장 저조했다.
저작권자 © 화이트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