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신용불량' 청년 23만명…반년 새 1.7만명 늘어
20∼30대 '신용불량' 청년 23만명…반년 새 1.7만명 늘어
  • 고수아 기자
  • 승인 2023.09.30 00: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30대 개인회생 신청은 올해 상반기만 2.5만건 넘어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화이트페이퍼=고수아 기자] 고금리와 경기 침체 여파로 빚 부담이 가중되면서 '신용불량' 상태에 빠진 청년층이 늘고 있다.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후 제때 갚지 못해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된 30대 이하 청년층이 6개월 만에 1만7000명 늘어났고, 올 상반기에만 개인회생 신청 건수도 2만5000건을 넘긴 것으로 파악됐다. 

29일 한국신용정보원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30대 이하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약 23만1200명으로 집계됐다. 

29세 이하가 9만5000명, 30대 13만5000명을 차지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20~30대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6개월 만에 약 1만7천명 증가했다. 전체 금융채무 불이행자 중 30대 이하 비중도 29.27%에서 29.75%로 확대됐다.

대출 이자를 90일 이상 연체하면 금융채무 불이행자(옛 신용불량자)로 등록돼 금융거래가 중단된다.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잔여 대출 원금을 의미하는 '등록금액' 역시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29세 이하 연령대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평균 등록금액은 2021년 말 1500만원에서 2022년 말 2150 만원, 올해 6월 말 2370만원까지 늘었다.

30대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평균 등록금액 역시 2021년 말 3420만원에서 2022년 말 3460만원, 올해 6월 말 3900만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빚을 갚지 못해 법원에 개인회생을 신청하는 청년층 역시 크게 늘고 있다.

진 의원이 대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개인회생 신청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20∼30대 개인회생 신청 건수는 2만5244건(20대 8447건, 30대 1만6797건)으로 집계됐다.

최근 30대 이하 연체율도 계속 오르고 있어 청년층 대출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0대 이하 연체율은 지난해 2분기 0.41%에서 올해 2분기 0.58%로, 30대 이하 취약 차주 연체율(3개 이상 금융기관 채무자이면서 저소득 또는 저신용 차주)은 5.80%에서 8.41%로 뛰었다.

진 의원은 "청년층의 빚 부담이 금융 전반의 부실로 확대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금융당국의 관리·구제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자료=진선미 의원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