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부동산PF 연체율 17%…사업장 152곳 정상화 추진
증권사 부동산PF 연체율 17%…사업장 152곳 정상화 추진
  • 고수아 기자
  • 승인 2023.09.12 14: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당국, 부동산 PF 사업정상화 추진상황 점검
6월말 금융권 연체율 2.17% "상승추세는 크게 둔화"
자료=금융위원회
자료=금융위원회

[화이트페이퍼=고수아 기자] 증권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1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는 12일 서울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 추진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PF 시장과 대주단 협약 가동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17%로, 석 달 전보다 0.16%p 올랐다. 전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133조1000억원으로 석달 사이 1조5000억원 늘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연체율 상승 추세는 크게 둔화했지만 고금리 상황 지속, 공사원가 상승 등 하반기에도 부동산 PF 시장 불안 요인이 상존하는 만큼 지속적인 관찰·관리가 필요하다는 데 참석자들 의견이 모였다"고 설명했다. 

업권별로는 여신전문(4.20%→3.89%, -0.31%p)을 제외한 모든 업권에서 PF 연체율이 상승했다. 

증권사 연체율은 17.28%로 전분기말(15.88%) 대비 1.40%p 상승했다. 다만 지난 1분기(+5.20%p) 대비 상승폭이 크게 둔화됐으며, 연체대출 규모는 0.9조원으로 증권사자기자본(78.2조원) 대비 1.2%에 불과해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금융당국은 평가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연체율이 0%였던 은행권도 0.23%로 올랐다. 보험은 0.73%로 0.07%p 상승했고, 저축은행은 4.61%로 0.54%p 상승, 상호금융은 1.12%로 1.03%p 상승해 증권 다음으로 상승폭이 컸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마련한 PF 대주단 협약 적용을 받는 부실·부실 우려 사업장은 모두 187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152곳에 대해 기한이익 부활, 신규 자금 지원, 이자 유예, 만기 연장 등 PF 사업장의 정상화·연착륙에 협약이 활용되고 있다. 

사업성이 없거나, 시행‧시공사와 대주단 간의 공동 손실분담이 부족한 사업장은공동관리 부결(23개) 및 경‧공매 등을 통한 사업장 정리가 진행됐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정부는 관계기관‧금융업권 등과 함께 부동산 PF 사업 관련 위험을 상시 점검하고 PF 사업정상화에 필요한 자금이 적재적소에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지속적으로 취해나갈 계획”이라며 “이와 함께, 기존에 발표한 'PF 대주단 협약'과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 등이 그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대주단과 시행사, 시공사 등 민간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이 함께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대주단과 시행사는 단순한 만기연장이 아닌 냉철한 사업성 평가에 기반한 사업장 채무조정 등 PF 사업장의 사업성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대주단을 구성하는 금융기관은 사업성이 있는 PF 사업장에는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충분한 자금을 공급해주는 한편, 위험관리 차원에서대손충당금 적립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