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 ‘로테이터캠’ 공개
현대차∙기아,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 ‘로테이터캠’ 공개
  • 최창민 기자
  • 승인 2023.09.06 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미지=
현대차·기아가 공개한 ‘로테이터캠’ 기술 메커니즘 (이미지=현대자동차그룹)

[화이트페이퍼=최창민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카메라 센서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공개했다.

현대차∙기아는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 글라스의 회전과 소형 와이퍼를 결합해 외부 오염을 제거하는 ‘로테이터캠’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최근 개발 경쟁이 가장 치열한 분야로 꼽히는 자율주행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기술적 고도화가 이뤄지고 있지만 센서에 묻은 조그마한 이물질 하나라도 치명적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만큼 자율주행이 정교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센서 클리닝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이날 현대차∙기아가 공개한 ‘로테이터캠’은 현대차∙기아가 개발하고 있는 다양한 센서 클리닝 기술 중 하나다. 먼지와 진흙은 물론 물방울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로테이터캠’은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와 커버 글라스 하단부에 위치한 워셔액 공급 장치, 고정형 와이퍼 블레이드 등으로 구성된다.

이미지 분석 AI가 오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워셔액 공급 장치가 작동되고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킨다. 회전에 의해 오염 물질은 소형 와이퍼에 걸러지게 되고 다시 선명한 영상 전송이 가능해진다. 레인 센서를 통해 우천 상황을 감지하면 워셔액 분사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물방울이 번지는 현상도 최소화한다.

‘로테이터캠’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워셔 노즐이 일체형으로 설계돼 오염 제거 성능이 우수하다. 또 워셔액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고 워셔액 사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특히 커버 글라스를 활용한 센서 클리닝 기술이 공통적으로 내부에 습기가 차는 문제를 갖는 데 비해 ‘로테이터캠’ 기술은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부 프로펠러 날개로 바람을 일으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현재 현대차∙기아는 ‘로테이터캠’의 면밀한 검증을 위해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가정해 시험을 진행 중이다. ‘로테이터캠’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 내구성과 성능 테스트를 거친 뒤 양산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센서 클리닝 기술은 자율주행 기술을 앞당기기 위한 핵심 요소”라며 “앞으로도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미래 모빌리티 기반의 다양한 편의 기술 개발을 위해 전 부문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