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반도체 전쟁에 우리기업 타격…"K-반도체 초격차 확보해야"
美-中 반도체 전쟁에 우리기업 타격…"K-반도체 초격차 확보해야"
  • 최창민 기자
  • 승인 2022.04.25 17: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련 반도체 규제 전후 점유율 조사
中 '반도체 굴기' 대항할 'K-반도체' 초격차 대두\
"새 정부 기업 지원 강화해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화이트페이퍼=최창민 기자] 3년 전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규제가 진행되는 동안 국내 반도체 시장의 중국 내 점유율이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이 천문학적 규모를 지니고 있는 만큼, 'K-반도체'의 초격차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대만·일본 中 시장 점유율 오를 때 韓 점유율↓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9년 4월부터 2020년 9월까지 1년 5개월 동안 진행된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규제 이후 국내 반도체 업체의 중국 수입 시장 점유율이 5.5%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당시 네 차례에 걸쳐 중국의 화웨이, SMIC 등을 상대로 미국 반도체 소프트웨어·장비를 활용해 생산된 반도체의 공급을 규제한 바 있다.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중국 내 위상이 떨어졌다는 해석이다. 이 기간 대만과 일본의 중국 내 반도체 시장 점유율은 각각 4.4%포인트, 1.8%포인트 증가했다.

수입액 증가세도 갈렸다. 중국 시자에서 대만은 지난 2018년 1018억달러 규모였던 수입액이 2021년에는 1602억달러로 57.4% 뛰었다. 아세안 6개국과 일본 역시 규모는 작지만 증가율은 각각 45.3%, 34.8%를 기록했다. 한국의 수입액 증가세가 유독 낮았는데, 844억달러에서 899억달러로 6.5%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국내 반도체 업체 가운데서는 특히 메모리반도체의 대중 수출이 다른 항목보다 줄었다. 지난 2018년 637억달러 수준을 보이던 중국의 국내 반도체 수입액은 2021년 550억달러까지 감소했다. 전경련은 "미국의 규제에 따른 화웨이의 한국산 메모리 구매 중단,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 등의 여파로 2021년 중국의 한국산 메모리 수입이 2018년 대비 13.7% 줄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정부 지원 나서야"…새 정부 역할 기대

전경련은 이를 토대로 중국 반도체 시장이 세계적인 수준인 만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 전 세계 반도체의 60%를 중국이 수요하고 있고, '반도체 굴기'를 통한 중앙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어, 국내 기업들의 ‘초격차’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중국의 반도체산업은 증가세가 뚜렷하다. 전경련에 따르면 반도체 집적회로 기준 지난해 중국의 매출액, 생산량 증가율은 2018년 미국의 규제가 있기 전보다 각각 61%, 94% 증가했다. 지난해 중국의 반도체 수입액은 4686억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반도체 업계에서는 중국이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향후 10년 동안 글로벌 메이저 기업과의 격차가 큰 첨단 노드 파운드리 생산·장비·소재 분야 격차를 줄일 것으로 본다. 실제 중국의 1위 파운드리 업체 SMIC는 올해 2월 반도체 생산능력 확충을 위해 50억달러(약 6조16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발표했다. 중국 2대 파운드리(위탁생산)업체 화훙반도체는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한 상하이증시 2차 상장을 통해 약 150억위안(약 2조9000억원) 조달에 나섰다.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전경련은 한국이 글로벌 반도체 기업 가운데 매출액 대비 정부 지원금이 낮은 점도 지적했다. 지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 동안 중국에서는 SMIC가 6.6%, 화홍 5%, 칭화유니그룹 4% 등으로 정부의 지원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한국은 삼성전자가 0.8%, SK하이닉스가 0.5% 수준에 그쳤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이 국가 역량을 총동원해 자주적 반도체 생태계 구축,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는 만큼, 5월 출범 새 정부는 'K-반도체'의 글로벌 초격차 확보를 위해 반도체 기업의 R&D(연구·개발) 투자, 세제 혜택 등 정책 지원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